구분 | 비상구 | 비상탈출구 |
근거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9조 관련 [별표 2] |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5조 |
설치대상 | 다중이용업소 영업장 안의 구획된 실마다 설치 | 지하층 거실의 바닥면적이 50㎡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 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을 설치 |
설치기준 | 1. 설치 위치 : 비상구는 영업장 주된 출입구의 반대방향에 설치하되, 주된 출입구 중심선으로부터의 수평거리가 영업장의 가장 긴 대각선 길이, 가로 또는 세로 길이 중 가장 긴 길이의 2분의 1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건물구조로 인하여 주된 출입구의 반대방향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된 출입구 중심선으로부터의 수평거리가 영업장의 가장 긴 대각선 길이, 가로 또는 세로 길이 중 가장 긴 길이의 2분의 1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2. 비상구 등 규격 : 가로 75cm 이상, 세로 150cm 이상으로 할 것 3. 구조 ⑴ 비상구 등은 구획된 실 또는 천장으로 통하는 구조가 아닌 것으로 할 것. ⑵ 비상구 등은 다른 영업장 또는 다른 용도의 시설(주차장은 제외)을 경유하는 구조가 아닌 것이어야 할 것. 4. 문 ⑴ 문이 열리는 방향: 피난방향으로 열리는 구조로 할 것 ⑵ 문의 재질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인 경우 비상구 등의 문은 방화문으로 설치할 것.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불연재료로 설치할 수 있다. ①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가 아닌 경우 ② 건물의 구조상 비상구 등의 문이 지표면과 접하는 경우로서 화재의 연소 확대 우려가 없는 경우 ③ 비상구 등의 문이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의 설치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하는 문이 아니거나 방화구획이 아닌 곳에 위치한 경우 ⑶ 주된 출입구의 문이 ⑵의 ③에 해당하고, 다음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 주된 출입구의 문을 자동문[미서기(슬라이딩)문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①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개방되는 구조 ② 정전 시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조 ③ 정전 시 수동으로 개방되는 구조 |
1.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m 이상으로 할 것 2. 비상탈출구의 문은 피난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하며, 내부 및 외부에는 비상탈출구의 표시를 할 것 3.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3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4. 지하층의 바닥으로부터 비상탈출구의 아랫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벽체에 발판의 너비가 20cm 이상인 사다리를 설치할 것 5. 비상탈출구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에 직접 접하거나 통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하고, 피난통로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과 그 바탕은 불연재료로 할 것 6. 비상탈출구의 진입부분 및 피난통로에는 통행에 지장이 있는 물건을 방치하거나 시설물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7. 비상탈출구의 유도등과 피난통로의 비상조명등의 설치는 소방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할 것 |
'소방기술사 > 건축방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실 제연설비(배출구 및 급기 관련기준) (0) | 2024.02.21 |
---|---|
거실 제연설비(제연방식, 배출량 및 배출방식) (0) | 2024.02.21 |
제연설비 설치기준 (0) | 2024.02.21 |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2) | 2024.01.30 |
피난안전구역 설치대상 및 설치기준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