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스계소화설비 기동용기함의 솔레노이드밸브의 점검 전 상태를 참고하여 안전조치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 - ㉢ - ㉠
② ㉢ - ㉡ - ㉠
③ ㉢ - ㉠ - ㉡
④ ㉡ - ㉠ - ㉢
[해설]
⑴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은 기동용 가스용기에 부착된 솔레노이드밸브
(전자밸브)를 분리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파괴침이 정상적으로 격발되는지 여부에 대한 시험(점검)을 하면 된다.
⑵ 기동용 가스용기에 부착된 솔레노이드밸브의 분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솔레노이드밸브 분리 중에 격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에 안전핀 체결(㉢)
⒝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솔레노이드밸브 분리(㉡)
⒞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안전핀 제거 후(㉠) 격발 시험 준비
⑶ 솔레노이드밸브 격발 시험(점검)
⒜ 수동조작버튼 작동 :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된 안전클립(안전핀) 제거 후 버튼 누르면 즉시 격발
⒝ 수동조작함 작동 : 방호구역 출입문 인근에 있는 수동조작함의 수동조작버튼을 누르면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 교차회로 감지기 동작 :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 감시제어반(수신반)에서 수동조작 스위치 동작 : 수신반에서 수동조작 스위치 동작시키면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답) 2번
2. 그림(㉠ ~ ㉣)을 보고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 전 안전조치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① ㉡ - ㉢ - ㉣ - ㉠
② ㉡ - ㉢ - ㉠ - ㉣
③ ㉡ - ㉠ - ㉢ - ㉣
④ ㉢ - ㉡ - ㉣ - ㉠
[해설]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 전 안전조치 순서
⑴ 1단계 : 선택밸브에 연결된 조작동관 분리(솔레노이드밸브를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동용 가스용기가 개방되는 경우 방출된 가스를 공기 중으로 방출시켜 약제 저장용기를 보호하기 위한 선행 조치)

⑵ 2단계 : 감시제어반에서 솔레노이드밸브 선택스위치 연동(자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전환
⑶ 3단계 : 솔레노이드밸브에 안전핀을 체결하여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분리
⑷ 4단계 :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안전핀을 제거하여 격발 시험 준비
답) 2번
3. 가스계소화설비 중 기동용기함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가스계소화설비 작동 점검 전 가장 우선해야 하는 안전조치로 옳은 것은?

① 1번의 연결부분을 분리한다.
② 2번의 압력스위치를 당긴다.
③ 3번의 단자에 배선을 연결한다.
④ 4번 안전핀을 체결한다.
[해설]
⑴ 가스계소화설비의 작동 점검은 실제 가스약제의 방출시험을 하는 것이 아니라 솔레노이드밸브(전자밸브)의 격발시험을 해서 솔레노이드밸브의 파괴침이 정상적으로 격발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⑵ 따라서,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시키는 도중에 파괴침 격발로 기동용 가스용기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 후미(4번 위치)에 안전핀을 체결한 상태에서 기동용 가스용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시키게 된다.
⑶ 기동용 가스용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한 후 솔레노이드밸브 후미에 체결한 안전핀을 다시 원상 복귀(분리)한 후 격발 시험을 실시하면 된다.
답) 4번
4.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을 위해 기동용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하였다. <그림>과 같이 감지기를 동작시킨 경우 확인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교차회로 감지기 2개를 작동시켰다)

① 제어반 화재 표시
② 솔레노이드밸브 파괴침 동작
③ 싸이렌 또는 경종 동작
④ 방출표시등 점등
[해설]
⑴ 방호구역의 교차회로 감지기(A감지기 and B감지기) 동작 시 확인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감시제어반(수신반) 화재표시등 점등
⒝ 솔레노이드밸브 파괴침 동작(격발)
⒞ 해당 구역 싸이렌 또는 경종 동작
⑵ 방호구역 출입구 (외부)상단에 설치된 방출표시등은 압력스위치 동작에 의해 점등된다.

답) 4번
5. 가스계소화설비 점검 중 감시제어반의 모습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점검 전 약제 방출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완료한 상태이다)

① 교차회로감지기(A, B)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② 전기실에 소화약제가 방출되지 않았다.
③ 주경종, 지구경종, 싸이렌, 비상방송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
④ 전기실 출입문 위 약제 방출표시등은 점등되어 있을 것이다.
[해설]
⑴ 교차회로 감지기(A감지기 and B감지기)는 방호구역(전기실)에 설치되어 있다.
⑵ 일시정지 버튼이 눌러져 있어 교차회로 감지기(A감지기 and B감지기)가 동작되었더라도 솔레노이드밸브는 격발되지 않으며, 전기실 방출등이 소등되어 있으므로 전기실에 소화약제는 방출되지 않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가스계소화설비 점검 시 실제로 소화약제 방출 시험을 하지 않고 기동용 가스용기에서 분리한 솔레노이드밸브의 격발 여부만 확인하게 된다.
⑶ 지구경종 버튼과 싸이렌 버튼이 눌러져 있으므로 지구경종과 싸이렌은 작동하지 않게 되며, 주경종 버튼과 방송 버튼은 정상 상태(눌러져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경종과 비상방송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⑷ 감시제어반에서 전기실방출등이 소등되어 있으므로 전기실 출입문 상단에 설치된 방출표시등은 점등되지 않은 상태이다.
답) 2번
6. 가스계소화설비 점검 중 그림(1)이 수동조작함 수동조작으로 동작된 경우, 그림(2)에서 점등되는 표시등과 관련이 없는 것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A, B, D
② B, D, E
③ B, C, D
④ A, D, E
[해설]
⑴ 수동조작함의 수동조작 버튼을 누른 경우 30초(피난시간 부여) 후에 그림(1)의 솔레노이드밸브가 격발된다.
⑵ 수동조작함 수동조작 버튼을 눌러 솔레노이드밸브가 격발된 경우 감시제어반에서는 화재등(B)과 수동조작등(C)이 점등된다.
⑶ 따라서, 그림(2)의 감시제어반에서 점등되는 표시등과 관련이 없는 것은 전기실 교차회로 감지기동작등(A), 도통시험 정상확인등(D), 전압지시계 높음표시등(E)은 솔레노이드밸브 수동조작에 따른 점등과 관련이 없는 표시등이다.
답) 4번
7. 가스계소화설비 점검 직후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그림의 상태를 정상 복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 |
㉠ 제어반 복구 → 제어반의 솔레노이드밸브 연동정지 ㉡ 솔레노이드밸브 복구 ㉢ 솔레노이드밸브에 안전핀을 체결 후 기동용기에 결합 ㉣ 제어반의 스위치를 연동상태 확인 후 솔레노이드밸브에서 안전핀 분리 ㉤ 점검 전 분리했던 조작동관을 결합 |
① ㉠ → ㉣ → ㉢ → ㉡ → ㉤
② ㉣ → ㉡ → ㉢ → ㉠ → ㉤
③ ㉠ → ㉢ → ㉡ → ㉤ → ㉣
④ ㉠ → ㉡ → ㉢ → ㉣ → ㉤
[해설] 가스계소화설비 점검(솔레노이드밸브 격발시험)을 완료 후 복구 방법
⑴ 감시제어반의 복구 버튼을 누르면 전기실 교차회로 감지기동작등(A전기실, B전기실)과 화재등이 소등된다. 이후 감시제어반의 솔레노이드밸브 선택스위치를 정지 위치로 전환한다.
⑵ 격발된 솔레노이드밸브의 파괴침에 안전핀을 꽂은 다음 벽이나 바닥에 밀어 넣으면 격발된 파괴침이 복구된다.
⑶ 솔레노이드밸브의 후미에 안전핀을 체결한 후 기동용 가스용기와 결합한다.

⑷ 감시제어반의 솔레노이드밸브 선택스위치를 연동(자동) 상태로 전환하고 솔레노이드밸브 파괴침 격발 등 이상이 없으면 솔레노이드밸브 후미의 안전핀을 분리시킨다.
⑸ 점검 전 안전조치로 분리했던 선택밸브의 조작동관을 다시 결합한다.
답) 4번
8. 가스계소화설비의 점검을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한 후 수동조작함을 조작하였다. 다음 결과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시제어반에서 화재등 점등, 수동조작등 점등
② 솔레노이드밸브 격발
③ 방출표시등 점등
④ 경보(싸이렌) 작동
[해설] 솔레노이드밸브(전자밸브) 격발 시험 및 동작확인 사항
⑴ 솔레노이드밸브(전자밸브) 격발 시험방법
⒜ 수동조작버튼 작동 : 솔레노이드밸브에 부착된 안전클립(안전핀) 제거 후 버튼 누르면 즉시 격발
⒝ 수동조작함 작동 : 방호구역 출입문 인근에 있는 수동조작함의 수동조작버튼을 누르면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 교차회로 감지기 동작 :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 감시제어반(수신반)에서 수동조작 스위치 동작 : 수신반에서 수동조작 스위치 동작시키면 30초 지연시간 이후 격발
⑵ 가스계소화설비 점검 시 동작확인 사항
⒜ 감시제어반(수신반)에서 화재표시 확인
⒝ 경보(사이렌)발령 여부 확인
⒞ 지연장치의 지연시간(30초) 확인
⒟ 솔레노이드밸브 격발 확인
⒠ 자동폐쇄장치 작동 및 환기장치 정지 여부 확인
⑶ 방호구역 출입구 (외부)상단에 설치된 방출표시등은 수동조작함 조작과 관련이 없으며 압력스위치 동작에 의해 방출표시등이 점등된다.
답) 3번
9. 다음 중 보기(가)와 보기(나)의 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ㄴ, ㅁ, ㅇ
② ㄴ, ㅁ, ㅂ
③ ㄹ, ㅁ, ㅂ, ㅇ
④ ㄹ, ㅁ, ㅅ, ㅇ
[해설]
⑴ 솔레노이드밸브(전자밸브) 격발 시킬 수 있는 방법 : 8번 문제 해설 참고
⑵ 감시제어반의 도통시험버튼은 각 회로의 단선여부를 확인하는 시험버튼이며 솔레노이드밸브의 격발과는 관련이 없다.
⑶ 압력스위치 동작에 따라 감시제어반에서는 가스방출등(ㅅ)이 점등된다.
⑷ 감지기동작등(ㅁ, ㅂ)은 방호구역(전기실) 내의 교차회로 감지기(전기실A, 전기실B) 동작 시 점등되며, 수동조작등(ㅇ)은 방호구역 외부 출입구 인근 수동조작함 조작(동작)에 의해서 점등된다.
답) 3번
10. 다음 그림과 같이 가스계소화설비 기동용기함의 압력스위치 점검(작동)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확인해햐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동조작함(수동기동장치) 방출등 점등
② 출입문 상단에 설치된 방출표시등 점등
③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격발)
④ 제어반의 방출표시등 점등
[해설] 압력스위치 점검(작동) 시 확인 사항
⑴ 감시제어반(수신반) 방출표시등 점등
⑵ 방호구역 출입문 상단 방출표시등 점등
⑶ 수동조작함(수동기동장치) 방출등(방출확인등) 점등
답) 3번
하단은 2025년도 최신 개정법 반영된 소방안전관리자 급수별 기출문제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https://allsobang.tistory.com/196
1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1(최신)-25년 01월 개정판
✔ 2024년 11월 강습교재 개정판 내용으로 문제 반영되어 있음 1. 화재 발생 위험이 크거나 소화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인정되는 행위나 물건에 대하여 해당하는 물건의 소유자 등을 알 수
allsobang.tistory.com
◐ 2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https://allsobang.tistory.com/40
2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1(최신)-25년 01월 개정판
✔ 2024년 11월 강습교재 개정판 내용으로 문제 반영되어 있음 1. 다음은 펌프성능시험 중 정격부하운전 시험방법이다. 빈칸 ㉠에 들어갈 용어와 유량조절밸브 ㉡을 그림에서 맞게 설명한 것은? [
allsobang.tistory.com
◐ 3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https://allsobang.tistory.com/201
3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최신)-25년 01월 개정판
✔ 2024년 11월 강습교재 개정판 내용으로 문제 반영되어 있음 1. 소방관계법령에서 규정한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차량은 소방대상물에 해당된다.② 의용소방대원은 소방대
allsobang.tistory.com
'소방안전관리자 >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도 1급 소방안전관리자 기출문제 (0) | 2024.03.25 |
---|---|
크몽 소방안전관리자 판매 중지 및 소방안전관리자 문제집(25년 01월 개정판) (10) | 2024.01.04 |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재 실무능력평가 문제2(스프링클러설비) (1) | 2023.06.25 |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재 실무능력평가 문제 1 (2) | 2023.06.21 |
소방안전관리자 공부방법 및 기출문제 (1)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