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개요

 ⑴ 소화전의 노즐선단 방수압력이 0.7을 초과할 경우 감압장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⑵ 보통 일반인이 소화활동상에 지장을 받지 않으려면 소방대가 관창을 잡고 소화활동을 할 때 반동력이 20이내가 되어야 정상적인 소화활동이 가능하다. 이는 반동력 R=0.015×P×d2의 식에 의거 노즐 구경이 d=13, 반동력 R=20일 경우

 ⑶ 따라서, 옥내소화전 노즐압력이 0.7초과할 경우 감압이 필요하며 설계 시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4가지 방법 중 한 가지를 사용한다.

2. 옥내소화전 감압방법

 ⑴ 감압밸브 방식

  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호스 접결구의 인입구 측에 감압밸브(감압용 오리피스)를 설치한다.

  ② 특징

   ㈎ 설치가 용이하며 기존 건물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 수계산을 하여 층별로 방사압력이 0.7초과하는 위치를 선정하여 소화전 밸브에 설치한다.

   ㈐ 모든 감압방식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⑵ 고가수조방식

  ① 고가수조를 건물 옥상에 설치하고 저층부에 대하여 0.7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압펌프 없이 자연낙차를 이용하여 사용한다.

  ② 특징

   ㈎ 고가수조 바로 아래층의 경우는 필요한 방수압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조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 건물 층고가 높아 저층부 중 건물의 하부에서 과압이 발생할 경우는 별도로 해당 층에 감압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 가압펌프 및 비상전원이 필요 없는 가장 신뢰도가 높은 방식이다.

 ⑶ 전용배관(고층부, 저층부)방식

  ① 시스템을 고층부 Zone과 저층부 Zone으로 분리한 후 Zone별로 입상관 및 펌프 등을 각각 별도로 구분 설치하는 방식이다.

  ② 특징

   ㈎ 고층부의 경우 펌프실은 지하층 이외 건물 중간층에도 설치할 수 있다.

   ㈏ 비를 별도로 구분하여 시공하여야 하므로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

   ㈐ 하나의 소방대상물이나 설비의 감시, 제어 및 관리를 이중으로 하여야 한다.

 ⑷ 부스터펌프 방식

  ① 기존 배관방식에 고층부 지역의 경우는 중간 부스터펌프 및 중간 수조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이다.

  ② 특징

   ㈎ 건물의 중간층에 중간 펌프실 및 수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 전용배관 방식과 같이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된다.

   ㈐ 부스터펌프 고장 시에도 주펌프를 이용하여 고층부에 송수할 수 있도록 한다.

 

3. 옥내소화전 노즐방사 반동력

4. 결론

 ⑴ 소화전의 노즐선단 방수압력이 0.7을 초과할 경우 감압장치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⑵ 소화활동을 원활히 하려는 방법이므로 건축물 구조 및 여건에 따라 적정한 감압방법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반응형

'소방기술사 > 소방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  (1) 2024.02.13
가압송수장치 분류  (0) 2024.02.06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1) 2024.02.05
소화기구의 설치기준  (1) 2024.02.05
소화기구의 종류  (1) 2024.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