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과목 :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기준 중 각층의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 설치하여야 하는 배출댐퍼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화재층의 옥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당해층의 댐퍼가 개방될 것
② 풍도의 배출댐퍼는 이·탈착구조가 되지 않도록 설치할 것
③ 개폐여부를 당해 장치 및 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능을 내장하고 있을 것
④ 배출댐퍼는 두께 1.5mm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비 내식성 재료의 경우에는 부식방지 조치를 할 것
[해설]
✔ 각층의 옥내와 면하는 수직풍도의 관통부에 설치하는 배출댐퍼 설치 기준
⑴ 배출댐퍼는 두께 1.5㎜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비 내식성 재료의 경우에는 부식방지 조치를 할 것
⑵ 평상시 닫힌 구조로 기밀상태를 유지할 것
⑶ 개폐여부를 당해 장치 및 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능을 내장하고 있을 것
⑷ 구동부의 작동상태와 닫혀 있을 때의 기밀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구조일 것
⑸ 풍도의 내부마감상태에 대한 점검 및 댐퍼의 정비가 가능한 이·탈착구조로 할 것
⑹ 화재층의 옥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따라 당해층의 댐퍼가 개방될 것
⑺ 개방 시의 실제개구부의 크기는 수직풍도의 내부단면적과 같도록 할 것
⑻ 댐퍼는 풍도내의 공기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수직풍도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게 설치할 것
62.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포소화설비 송수구의 설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②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하나의 층 바닥면적이 2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할 것
④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3mm의 배수공) 및 안전밸브를 설치할 것
[해설]
✔ 포소화설비 송수구 설치기준
⑴ 송수구는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⑵ 송수구로부터 포소화설비의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때에는 그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옥외 또는 기계실 등의 장소에 설치할 것
⑶ 구경 65㎜의 쌍구형으로 할 것
⑷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⑸ 포소화설비의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할 것(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
⑹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⑺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⑻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⑼ 압축공기포소화설비를 스프링클러 보조설비로 설치하거나 압축공기포 소화설비에 자동으로 급수되는 장치를 설치한 때에는 송수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63. 스프링클러설비 본체내의 유수현상을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신호 또는 경보를 발하는 장치는?
① 수압개폐장치 ② 물올림장치
③ 일제개방밸브장치 ④ 유수검지장치
[해설]
⑴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압력챔버) : 소화설비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으로 펌프를 기동 또는 정지시키는 장치
⑵ 물올림장치 :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아래에 있을 때 설치하며, 주기능은 펌프와 후드밸브 사이의 흡입관 내에 물을 항상 채워두어 펌프가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로 펌프의 공회전을 방지한다.
⑶ 일제개방밸브 :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에 설치하는 밸브로서 화재발생 시 교차회로 감지기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식 기동장치에 따라 밸브가 개방된다.
⑷ 유수검지장치 : 본체 내의 유수현상을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신호 또는 경보를 발하는 장치
64. 옥내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옥내소화전설비의 표시등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한다.
②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녹색등으로 한다.
③ 자체소방대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 가압송수장치의 기동표시등을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④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하부에 설치하되, 「표시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해설]
✔ 옥내소화전설비의 표시등 설치기준
⑴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소방청장이 고시하는 「표시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⑵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할 것. 다만, 자체소방대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 가압송수장치의 기동표시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65.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건축물의 주유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벽 및 반자의 실내에 면하는 부분이 불연재료로 된 바닥 면적이 600m2인 노유자시설에 필요한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① 2단위 ② 3단위
③ 4단위 ④ 6단위
[해설]
✔ 특정소방대상물별 소화기구의 능력단위기준
특정소방대상물 |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
1. 위락시설 |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30㎡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
2.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문화재ㆍ장례식장 및 의료시설 |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50㎡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
3. 근린생활시설ㆍ판매시설ㆍ운수시설ㆍ숙박시설ㆍ노유자시설ㆍ전시장ㆍ공동주택ㆍ업무시설ㆍ방송통신시설ㆍ공장ㆍ창고시설ㆍ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 및 관광휴게시설 |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100㎡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
4. 그 밖의 것 |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 200㎡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 |
※ 소화기구의 능력단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벽 및 반자의 실내에 면하는 부분이 불연재료․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된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위 표의 기준면적의 2배를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면적으로 한다.
[풀이]
노유자시설에 필요한 소화기구의 능력단위 = 600㎡/200㎡=3단위
66.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분말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는 것이다.)
① 기동용 가스용기의 충전비는 1.5 이상으로 할 것
② 자동식 기동장치에는 수동으로도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③ 전기식 기동장치로서 3병 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개방하는 설비는 2병 이상의 저장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할 것
④ 기동용 가스용기에는 내압시험압력의 0.8배 내지 내압시험압력 이하에서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할 것
[해설]
✔ 분말소화설비 자동식 기동장치(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는 것) 설치기준
⑴ 자동식 기동장치에는 수동으로도 기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⑵ 전기식 기동장치로서 7병 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개방하는 설비는 2병 이상의 저장용기에 전자개방밸브를 부착할 것
⑶ 가스압력식 기동장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를 것
㈎ 기동용 가스용기 및 해당 용기에 사용하는 밸브는 25 ㎫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기동용가스용기에는 내압시험압력의 0.8배 내지 내압시험압력 이하에서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할 것
㈐ 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용적은 1ℓ 이상으로 하고, 해당 용기에 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0.6㎏ 이상으로 하며, 충전비는 1.5 이상으로 할 것
⑷ 기계식 기동장치는 저장용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67. 상수도소화용수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설치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① ㉠ 65, ㉡ 80, ㉢ 120
② ㉠ 65, ㉡ 100, ㉢ 140
③ ㉠ 75, ㉡ 80, ㉢ 120
④ ㉠ 75, ㉡ 100, ㉢ 140
[해설]
✔ 상수도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
⑴ 호칭지름 75㎜ 이상의 수도배관에 호칭지름 100㎜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할 것
⑵ ⑴에 따른 소화전은 소방자동차 등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할 것
⑶ ⑴에 따른 소화전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것
68.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장소로만 나열된 것은?
① 계단실, 병실, 목욕실, 냉동창고의 냉동실, 아파트(대피공간 제외)
② 발전실, 병원의 수술실·응급처치실, 통신기기실, 관람석이 없는 실내 테니스장(실내 바닥·벽 등이 불연재료)
③ 냉동창고의 냉동실, 변전실, 병실, 목욕실, 수영장 관람석
④ 병원의 수술실, 관람석이 없는 실내 테니스장(실내 바닥·벽 등이 불연재료), 변전실, 발전실, 아파트(대피공간 제외)
[해설]
✔ 스프링클러헤드 설치제외 장소
⑴ 계단실
⑵ 목욕실
⑶ 냉동창고의 냉동실
⑷ 발전실·변전실
⑸ 병원의 수술실·응급처치실
⑹ 통신기기실
⑺ 관람석이 없는 실내 테니스장(실내 바닥·벽 등이 불연재료)
⑻ 수영장(관람석 제외)
✔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
⑴ 병실
⑵ 수영장 관람석
⑶ 아파트(대피공간 제외)
69. 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포소화설비에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로 틀린 것은?
①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②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③ 동결방지조치로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경우
④ 천장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해설]
✔ 소방용 합성수지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
⑴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⑵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⑶ 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을 포함)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70. 다음 중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소방대상물로 틀린 것은?
① 발코니 등을 토하여 인접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계단실형 아파트
②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강의실 용도로 사용되는 층에 한함)
③ 무인공장 또는 자동창고로서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
④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또는 노유자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으로서 그 층의 바닥면적이 1000m2 이상인 것
[해설]
✔ 피난기구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 소방대상물
⑴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하이며 소방사다리차가 쉽게 통행할 수 있는 도로 또는 공지에 면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2 이상 설치되어 있는 층(문화집회 및 운동시설ㆍ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또는 노유자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층으로서 그 층의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것을 제외한다)
⑵ 편복도형 아파트 또는 발코니 등을 통하여 인접세대로 피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계단실형 아파트
⑶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서 거실의 각 부분으로 직접 복도로 피난할 수 있는 학교(강의실 용도로 사용되는 층에 한한다)
⑷ 무인공장 또는 자동창고로서 사람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
⑸ 건축물의 옥상부분으로서 거실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사람이 근무하거나 거주하지 아니하는 장소
71.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연소방지설비헤드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1.5m 이하로 할 것
②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로 할 것
③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할 것
④ 한쪽 방향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2m 이상으로 할 것
[해설] ✔ 연소방지설비헤드의 설치기준
⑴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할 것
⑵ 헤드간의 수평거리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의 경우에는 2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우에는 1.5m 이하로 할 것
⑶ 소방대원의 출입이 가능한 환기구ㆍ작업구마다 지하구의 양쪽방향으로 살수헤드를 설정하되, 한쪽 방향의 살수구역의 길이는 3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환기구 사이의 간격이 700m를 초과할 경우에는 700m 이내마다 살수구역을 설정하되, 지하구의 구조를 고려하여 방화벽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⑷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를 설치할 경우에는「소화설비용헤드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적합한 ‘살수헤드’를 설치할 것
72.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상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별 적응성 중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없는 소화약제는?
① 마른 모래
②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
③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④ 중탄산염류 소화약제
[해설]
✔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별 적응성

※ “*”의 소화약제별 적응성은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화재 종류별 적응성에 적합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한한다.
73. 이산화탄소소화설비 및 할론소화설비의 국소방출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정식 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② 고정된 분사헤드에서 밀폐 방호구역 공간 전체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③ 호스 선단에 부착된 노즐을 이동하여 방호대상물에 직접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④ 소화약제 용기 노즐 등을 운반기구에 적재하고 방호대상물에 직접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해설]
✔ 가스계소화약제 방출방식에 따른 분류
⑴ 전역방출방식 : 고정된 분사헤드에서 밀폐 방호구역 공간 전체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
⑵ 국소방출방식 : 고정식 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
⑶ 호스릴방식 : 호스 선단에 부착된 노즐을 이동하여 방호대상물에 직접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방식
74. 특고압의 전기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소화설비로 물분무소화설비를 사용한다. 그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① 물분무 설비는 다른 물 소화설비에 비해서 신속한 소화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② 물분무 설비는 다른 물 소화설비에 비해서 물의 소모량이 적기 때문이다.
③ 분무상태의 물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기 때문이다.
④ 물분무입자 역시 물이므로 전기전도성이 있으나 전기 시설물을 젖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해설]
✔ 분무상태의 물은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기 때문
75. 물분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는 차고 또는 주차장의 배수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해 1/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② 배수구에서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③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cm 이상이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④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해설]
✔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물분무소화설비의 배수설비 설치기준
⑴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⑵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ㆍ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⑶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100분의 2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⑷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76.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송수구가 부설된 옥내소화전을 설치한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층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단, 집회장·관람장·백화점·도매시장·소매시장·판매시설·공장·창고시설 또는 지하가를 제외한다.)

① ㉠ 3, ㉡ 5000, ㉢ 3 ② ㉠ 4, ㉡ 6000, ㉢ 2
③ ㉠ 5, ㉡ 3000, ㉢ 3 ④ ㉠ 6, ㉡ 4000, ㉢ 2
[해설]
✔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층
⑴ 아파트의 1층 및 2층
⑵ 소방차의 접근이 가능하고 소방대원이 소방차로부터 각 부분에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피난층
⑶ 송수구가 부설된 옥내소화전을 설치한 특정소방대상물(집회장ㆍ관람장ㆍ백화점ㆍ도매시장ㆍ소매시장ㆍ판매시설ㆍ공장ㆍ창고시설 또는 지하가를 제외한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층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하이고 연면적이 6,000㎡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상층
㈏ 지하층의 층수가 2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
77.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최고 주위온도 40℃인 장소(공장 및 창고 제외)에 설치할 경우 표시온도는 몇 ℃의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79℃ 미만 ② 79℃ 이상 121℃ 미만
③ 121℃ 이상 162℃ 미만 ④ 162℃ 이상
[해설]
✔ 설치장소의 최고 주위온도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는 헤드(표시온도 구분)

78. 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할론 1211을 국소방출방식으로 방사할 때 분사헤드의 방사압력 기준은 몇 MPa 이상인가?
① 0.1 ② 0.2
③ 0.9 ④ 1.05
[해설]
✔ 국소방출방식의 할론소화설비 분사헤드 설치기준
⑴ 소화약제의 방사에 따라 가연물이 비산하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⑵ 할론 2402를 방사하는 분사헤드는 해당 소화약제가 무상으로 분무되는 것으로 할 것
⑶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은 할론 2402를 방사하는 것은 0.1㎫ 이상, 할론 1211을 방사하는 것은 0.2㎫ 이상, 할론1301을 방사하는 것은 0.9㎫ 이상으로 할 것
⑷ 기준저장량의 소화약제를 10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79.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물분무헤드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장소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① 160 ② 200
③ 260 ④ 300
[해설]
✔ 물분무헤드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장소
⑴ 물에 심하게 반응하는 물질 또는 물과 반응하여 위험한 물질을 생성하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⑵ 고온의 물질 및 증류범위가 넓어 끓어 넘치는 위험이 있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⑶ 운전시에 표면의 온도가 260℃ 이상으로 되는 등 직접 분무를 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
80. 인명구조기구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해야 할 인명구조기구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지하가 중 지하상가는 인공소생기를 층마다 2개 이상 비치할 것
②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는 공기호흡기를 층마다 2개 이상 비치할 것
③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7층 이상인 관광호텔은 방열복(또는 방화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를 각 2개 이상 비치할 것
④ 물분무등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공기호흡기를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출입구 외부 인근에 1대 이상 비치할 것
[해설]
✔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하여야 할 인명구조기구

2021년 09월 시행한 소방설비기사 기계 기출문제 하단 첨부파일 참고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 1과목은 하단 링크 클릭~
https://allsobang.tistory.com/208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1과목
1과목 : 소방원론 1. 내화건축물과 비교한 목조건축물 화재의 일반적인 특징을 옳게 나타낸 것은? ① 고온, 단시간형 ② 저온, 단시간형 ③ 고온, 장시간형 ④ 저온, 장시간형 [해설] ✔
allsobang.tistory.com
'소방설비(산업)기사 > 기계분야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 (0) | 2022.04.12 |
---|---|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1과목 (0) | 2022.04.09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3과목 (0) | 2022.04.07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 (0) | 2022.04.06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1과목 (1) | 2022.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