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소방원론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는 제외)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몇 m 이하의 곳에 비치하여야 하는가?
① 0.5 ② 1.0
③ 1.5 ④ 2.0
[해설]
✔ 소화기구 설치기준(화재안전기준)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를 제외한다)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에 비치하고, 소화기에 있어서는 "소화기", 투척용소화용구에 있어서는 "투척용소화용구", 마른모래에 있어서는 "소화용모래", 팽창질석 및 팽창진주암에 있어서는 "소화질석"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할 것
2. 화재의 분류방법 중 유류화재를 나타낸 것은?
① A급 화재 ② B급 화재
③ C급 화재 ④ D급 화재
[해설]
⑴ A급 화재 : 일반화재
⑵ B급 화재 : 유류화재
⑶ C급 화재 : 전기화재
⑷ D급 화재 : 금속화재
⑸ K급 화재 : 주방화재(식용유 화재)
3.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이고 가시거리가 20~30m에 해당하는 감광계수는 얼마인가?
① 0.1m-1 ② 1.0m-1
③ 2.0m-1 ④ 10m-1
[해설]
감광계수[m-1] | 가시거리[m] | 상황 |
0.1 | 20~30m | -화재초기발생 단계의 적은 연기농도 -연기감지기의작동농도 -미숙지자의피난한계농도 |
0.3 | 5m | -건물내 숙지자의 피난한계농도 |
0.5 | 3m | -어둡다는걸 느낄수 있는 농도 |
1 | 1~2m |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
10 | 0.1~0.5m | -화재최성기 때의 연기농도 |
30 | - |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연기농도 |
4.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에 관한 소화성능 및 물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비열과 증발잠열이 커서 냉각소화 효과가 우수하다.
② 물(15℃)의 비열은 약 1cal/g·℃ 이다.
③ 물(100℃)의 증발잠열은 439.6cal/g 이다.
④ 물의 기화에 의한 팽창된 수증기는 질식소화 작용을 할 수 있다.
[해설]
✔ 물의 소화능력
⑴ 비열과 증발잠열(기화잠열)이 커서 냉각소화 효과가 우수하다.
⑵ 물(15℃)의 비열은 약 1㎈/g·℃(=1㎉/㎏·℃) 이다.
⑶ 물(100℃)의 증발잠열은 539cal/g(=539㎉/㎏) 이다.
⑷ 물의 기화에 의한 팽창된 수증기는 질식소화 작용을 할 수 있다.
5. 소화에 필요한 CO2의 이론소화농도가 공기 중에서 37vol% 일 때 한계산소농도는 약 몇 vol% 인가?
① 13.2 ② 14.5
③ 15.5 ④ 16.5
[해설]
✔ CO2의 이론소화농도

6. 물리적 소화방법이 아닌 것은?
① 연쇄반응의 억제에 의한 방법
② 냉각에 의한 방법
③ 공기와의 접촉 차단에 의한 방법
④ 가연물 제거에 의한 방법
[해설]
✔ 물리적 소화방법
⑴ 냉각소화 : 냉각에 의한 방법
⑵ 질식소화 : 공기와의 접촉 차단에 의한 방법
⑶ 제거소화 : 가연물 제거에 의한 방법
✔ 화학적 소화방법
⑴ 억제소화 : 연쇄반응의 억제에 의한 방법
7. Halon 1211의 화학식에 해당하는 것은?
① CH2BrCl ② CF2ClBr
③ CH2BrF ④ CF2HBr
[해설]
종류 | 분자식(화학식) |
할론1011 | CH2ClBr |
할론104 | CCI4 |
할론1211 | CF2ClBr |
할론1301 | CF3Br |
할론2402 | C2F4Br2 |
8. 마그네슘의 화재에 주수하였을 때 물과 마그네슘의 반응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가스는?
① 산소 ② 수소
③ 일산화탄소 ④ 이산화탄소
[해설]
✔ 마그네슘과 물의 반응식
Mg + 2H2O → Mg(OH)2 + H2↑
9. 제2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① NaH2PO4 ② KH2PO4
③ NaHCO3 ④ KHCO3
[해설]
종별 | 주성분 | 분자식 | 색상 | 적응화재 |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 NaHCO3 | 백색 | BC급 |
제2종 | 탄산수소칼륨 | KHCO3 | 담회색 | BC급 |
제3종 | 제1인산암모늄 | NH4H2PO4 | 담홍색 | ABC급 |
제4종 | 탄산수소칼륨+요소 | KHCO3+ (NH2)2CO |
회색 | BC급 |
10. 조연성가스로만 나열되어 있는 것은?
① 질소, 불소, 수증기
② 산소, 불소, 염소
③ 산소, 이산화탄소, 오존
④ 질소, 이산화탄소, 염소
[해설]
✔ 조연성가스(지연성가스) : 자기 자신은 연소하지 않지만 연소를 도와주는 가스
→ 산소, 공기, 염소, 오존, 불소
✔ 가연성가스 : 물질 자체가 연소하는 가스
→ 수소, 메탄, 일산화탄소, 천연가스, 부탄, 에탄, 암모니아, 프로판 등
✔ 불연성가스 : 스스로 연소하지 못하며, 다른 물질을 연소시키는 성질도 갖지 않는 가스
→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1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자기반응성물질의 품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니트로화합물 ② 할로겐간화합물
③ 질산에스테르류 ④ 히드록실아민염류
[해설]
유별 | 성질 | 품명 |
제1류 | 산화성고체 |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롬산염류 질산염류 요오드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염류 |
제2류 | 가연성고체 |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 |
제3류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 | 나트륨 칼륨 알킬리튬 알킬알루미늄 황린 알칼리금속 유기금속화합물 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알루미늄의 탄화물 |
제4류 | 인화성액체 | 특수인화물 제1석유류 알코올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동식물유류 |
제5류 | 자기반응성물질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류 니트로화합물 니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디아조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히드록실아민 히드록실아민염류 |
제6류 | 산화성액체 |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
12. 건축물 화재에서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이 일어나는 시기는?
① 초기에서 성장기로 넘어가는 시기
②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넘어가는 시기
③ 최성기에서 감쇠기로 넘어가는 시기
④ 감쇠기에서 종기로 넘어가는 시기
[해설]
✔ 화재의 양상 : 초기 → 성장기 → 플래시오버 → 최성기 → 감쇠기(감퇴기)
13. 물과 반응하였을 때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은?
① 과산화칼슘 ② 메탄올
③ 칼륨 ④ 과산화수소
[해설]
✔ 칼륨과 물의 반응식
K + 2H2O → 2KOH + H2↑
14. 인화칼슘과 물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가스는?
① 아세틸렌 ② 황화수소
③ 황산 ④ 포스핀
[해설]
✔ 인화칼슘(인화석회)과 물의 반응식
Ca3P2 + 6H2O → 3Ca(OH)2 + 2PH3↑
인화칼슘 + 물 → 수산화칼슘 + 포스핀
15. 다음 중 공기에서의 연소범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위험도(H) 값이 가장 큰 것은?
① 디에틸에테르 ② 수소
③ 에틸렌 ④ 부탄
[해설]
✔ 가연성가스별 연소하한계와 연소상한계
가연성가스 | 연소하한계[vol%] | 연소상한계[vol%] |
디에틸에테르 | 1.9 | 48 |
수소 | 4 | 75 |
에틸렌 | 2.7 | 36 |
부탄 | 1.8 | 8.4 |
✔ 위험도

16.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산소와 반응 시 흡열반응을 일으킨다.
② 산소와 반응하여 불연성 물질을 발생시킨다.
③ 산화하지 않으나 산소와는 반응한다.
④ 산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해설]
✔ 불연성 물질
⑴ 불활성 기체(0족 원소) : 헬륨, 네온, 아르곤 등
⑵ 산소와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물질 : 물, 이산화탄소
⑶ 흡열반응하는 물질 : 질소 또는 질소산화물
⑷ 자체가 연소하지 않는 물질 : 돌, 흙
17. 다음 중 피난자의 집중으로 패닉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가장 큰 형태는?
① T형 ② X형
③ Z형 ④ H형
[해설]
✔ 피난형태

18. 물리적 폭발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분해 폭발 ② 분진 폭발
③ 중합 폭발 ④ 수증기 폭발
[해설]
✔ 폭발의 종류
화학적 폭발 | 물리적 폭발 |
- 가스폭발 - 유증기폭발 - 분진폭발 - 화학류의 폭발 - 산화폭발 - 분해폭발 - 중합폭발 - 증기운폭발 |
- 증기폭발(수증기폭발) - 전선폭발 - 상전이폭발 - 압력방출에 의한 폭발 |
19. 다음 중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① 아세톤 ② 휘발유
③ 이황화탄소 ④ 벤젠
[해설]
✔ 각 물질별 착화온도(발화점)
⑴ 아세톤 : 538℃
⑵ 휘발유 : 300℃
⑶ 이황화탄소 : 100℃
⑷ 벤젠 : 562℃
20. 건물화재 시 패닉(panic)의 발생원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연기에 의한 시계 제한
②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 장애
③ 외부와 단절되어 고립
④ 불연내장재의 사용
[해설]
✔ 패닉의 발생원인
⑴ 연기에 의한 시계 제한
⑵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 장애
⑶ 외부와 단절되어 고립
2021년 09월 시행한 소방설비기사 기계 기출문제 하단 첨부파일 참고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은 하단 링크 클릭~
https://allsobang.tistory.com/205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
2과목 : 소방유체역학 21. 지름이 5cm인 원형 관내에 이상기체가 층류로 흐른다. 다음 중 이 기체의 속도가 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르면? (단, 이 기체의 절대압력은 200kPa, 온도는 27℃, 기체상수는
allsobang.tistory.com
'소방설비(산업)기사 > 기계분야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 (0) | 2022.04.12 |
---|---|
2021년 05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1과목 (0) | 2022.04.09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4과목 (0) | 2022.04.08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3과목 (0) | 2022.04.07 |
2021년 09월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포함) 2과목 (0) | 2022.04.06 |